동탄금팔때 이것만큼은 반드시 알고 주의하세요~!

안녕하세요. 수원영통센터 다이아를 부탁해입니다.
최근 금시세가 무서운 속도로 상승하면서 수원영통센터로 방문하셔서 금시세를 문의하시거나 금매입을 하시는 분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그런데 동탄금팔때 상담을 하다 보면 다른 업체에서 잘못된 안내를 받으셨거나 구입하실 때 제품에 대해 잘못 기억하고 계신 분들이 계신데요. 가지고 계신 제품의 금함량을 잘못 알고 계신 경우도 있고 18K, 14K 화이트 골드 제품을 백금 제품으로 착각하기도 하며, 도금 제품을 금 제품으로 알고 계신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동탄금팔때 미리 주의하시고 알고 계셔야 하는 부분들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을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금 함량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금함량은 크게 24K, 18K, 14K로 나뉘는데요. 24K는 흔히 알고 계시는 순금 제품으로 99.99%의 함량을 지니고 있습니다. 각인에는 보통 24K 혹은 99.99와 같은 각이이 되어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18K와 14K는 각각 금 함량 75.0%, 58.5%가 포함되어 있으며 나머지 부분들은 구리, 아연과 같은 다른 금속들이 섞여 일반적인 옐로우 골드 외에 화이트 골드 혹은 핑크 골드와 같은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합니다.
18K 제품의 경우 18K, K18, 750과 같은 각인이 새겨져 있고 14K는 K14, 585라는 각인이 새겨져 있어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각인이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보고 구분이 가능하지만 착용하시거나 시간이 오래되어 각인이 지워지거나 흐릿해진 경우에는 고객님들이 쉽게 확인하기가 어려운데요. 이를 악용해 동탄금팔때 일부 업체들은 금 함량을 정확히 알려주지 않고 18K 제품을 14K와 같은 더 낮은 함량의 시세를 적용해 매입하기도 합니다. 수원영통센터에서는 시금석과 분해 용액을 이용해 고객님 앞에서 정확하게 확인시켜 드린 뒤 시세대로 금매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동탄금팔때 많은 분들이 착각하시는 백금과 화이트 골드가 있습니다. 예전부터 18K 혹은 14K 화이트 골드 제품을 백금 제품이라고 혼동해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18K 화이트 골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백금 제품으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백금과 화이트 골드는 원소기호부터 다른 금속으로 백금은 Pt, 화이트 골드 제품은 금 Au로 표기합니다. 백금으로 제작된 제품은 원소기호와 함량을 각인하기 때문에 Pt900, Pt800 같은 각인이 되어있는 반면 화이트 골드 제품은 18K, 14K 각인이 되어 있어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금시세가 높아지면서 백금 시세와 큰 차이가 벌어지고 있는 만큼 동탄금팔때 정확히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동탄금팔때 도금 제품을 금제품으로 착각하고 가져오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각인을 보고 18K, 14K라고 생각하시고 가져오시는데 일반적인 18K, 14K라는 각인이 아닌 18KGP, 18KGF, 14KGP, 14KGF와 같은 각인은 도금된 제품이라는 의미로 동탄금팔때 매입이 불가능한 제품들입니다. 각인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인 금 제품과 다르게 자석에 반응하는 것으로도 쉽게 확인이 가능하며 매입 거래가 되지 않는다는 점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동탄금팔때 수원영통센터에서 상담을 받으시면서 많이들 착각하시거나 잘못 알고 계신 내용들에 대해 설명해 보았습니다. 금매입은 다이아몬드만큼 어렵지는 않지만 잘못된 정보로 알고 계신 분들이 많고 이 때문에 손해를 보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금시세만큼 가지고 계신 제품의 금 함량이나 백금 혹은 화이트골드 중 어떤 제품인지, 도금 제품은 아닌지까지 정확하게 확인하시고 수원영통센터와 같이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곳에서 거래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