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DC 칼럼 및 정보/금, 보석

금제품 도금제품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

by 다이아를 부탁해 2021. 1. 5.

녕하세요. 수원영통센터 다이아를 부탁해입니다.

오늘은 고객님들께서 가지고 계신 금제품들이 정말 금제품이 맞는지 도금 처리된 제품은 아닌지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려고 합니다. 금매입을 위해 센터에 가지고 오셨다가 도금된 제품인 걸 알고 당황하시는 고객님들이 종종 계시는데요. 지금부터 집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가장 쉽게 확인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제품에 변색이 된 부분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착용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마찰이 일어나게 되면서 변색이 되는데요. 보통 가장자리 주변에서 일어나며 만약 금이 닳아 없어진 부분에 다른 금속이 보인다면 그 금은 도금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다음으로는 각인 표기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제품에 각인 표기되는 14K, 18K, 24K 각인이 아닌 K 뒤에 GF / GP / GE 와 같은 각인이 되어 있다면 도금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래된 금제품의 경우 표면이 마모되어 각인이 사라지거나 도금 각인이 아닌 일반 금과 같은 각인을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 주의하셔야 합니다.

 

 

GF / GP / GE 의 각인은 도금 두께에 따라 나눌 수 있는데요.

G.F (Gold Filled) - 전체 중량의 1/20 이 도금 중량입니다.

G.P (Gold Plate) - 전체 중량의 1/30~1/40 이하로 된 도금입니다.

G.E (Gold Electroplate) - 전체 중량의 1/50 이하가 도금 중량인 매우 얇은 금 도금으로 주로 14K, 18K 제품을 더 돋보이게 하는 용도로 귀금속 제품에 사용됩니다.

 

 

보다 정확하면서도 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자석을 이용한 테스트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석보다는 조금 강한 힘의 자석을 철물점 같은 곳에서 구입하거나 집에 있는 강한 자석이 있다면 이를 이용해 확인하고 싶은 금제품에 자석을 가져다 대는 방법입니다. 금은 자성을 가지고 있는 금속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자석에 아무런 반응이 없어야 합니다. 만약 자석에 붙거나 움직인다면 금이 아닐 확률이 굉장히 높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치아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영화 속 장면에서 금을 치아로 물어보는 장면이나 국가대표 선수가 금메달을 치아로 무는 장면을 한 번쯤은 보셨을 텐데요. 이렇게 치아로 금을 물었을 때 이빨 자국이 선명하게 난다면 금의 순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치아에 손상을 줄 수 있어 크게 추천드리는 방법은 아닙니다.

 

오늘은 종종 문의를 받았던 금제품과 도금제품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요. 위에 설명드린 방법 외에도 묽은 황산을 이용해서 구별하는 방법과 같은 보다 전문적이고 확실한 방법들이 존재하지만 집에서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구입하신 매장이나 주얼리숍을 방문하셔서 감별을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